본문 바로가기
Study/SDBMS

SDBMS ① Spatial Data Model and Topological Relationship

by garrrruii 2021. 3. 15.

SDBMS 공간데이터베이스

 

① Spatial Data Model and Topological Relationship

 


 

1. Data Model

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데이터 모델은 여러 종류가 있겠으나

일반적인 데이터 모델은 Spatial ADT 지원이 안 돼 공간적 데이터에는 적합하지 않다.

이 과목에서 다루는 내용은 Applicatoin Domain specific한 데이터 모델

*ADT: Abstract Data Type

*Application Domain specific: 솔직히 이 말 잘 이해 못하겠으나,, '지리적 정보에 대한 개념이 탑재된' 정도로 이해하면 될 듯

 

 

Spatial 모델은 위치에 초점을 두느냐 객체에 초점을 두느냐로 나눠 생각할 수 있다.

이 글에서 주로 설명할 건 object based model이다.

 

 


 

2. Object

객체. 공간/비공간적 attribute를 가지고, 객체 간 이뤄지는 연산을 가진다.

 

그저 점, 선, 면으로만 표현할 수도, 그 집합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.

위 그림은 객체 간 관계를 나타내는 그림인데 set based operation과 연관지어도 될 듯.

 

 

가장 기초적인 연산들. 여기서 중요하게 다룬 게 두 번째, topological operation이다.

 


 

3. Topological Relationships

어떤 두 공간을 잘라 나누거나, 합치지 않고 변형해도 두 객체 간의 관계는 불변한다.

지도를 둘둘 말아도 스페인과 포르투갈이 붙어있다는 걸 기억하자.

또는 진부하지만 위상적으로 도넛≡머그컵임을 떠올려도 된다.

 

그런 불변하는 관계를 위상 관계라고 한다. 두 객체가 접한다, 겹친다, 교차한다 등

 

위상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서는

- Interior

- Boundary

- Exterior

세 가지의 정의가 필수적이고

이에 기반해 두 객체의 위상 관계를 행렬로 표현할 수 있다.

 

* 9-Intersection Model

A, B의 interior, boundary, exterior 간 intersection으로 통해 얻은 3×3 boolean matrix

이때 A, B는 2차원 상 존재하는 객체

위 오른쪽 표는 우선 면을 기준으로 표현했으나,

점과 선에 대해서도 생각해보라고 하셨다.

 

수업 당시에는 점과 선에 대해서는 명확히 정의하진 않았

데이터베이스마다도 정의하기 나름이라는 말을 들었는데

 

좀 찾아보니 관련해 잘 정리해둔 글을 찾았다.

Point Set Theory를 참고한 글인데 궁금하면 이 내용을 읽어보면 좋을 듯.

 


 

 

잡담

더보기

 

1.

이 내용이 중요하다 아니다라는 건 함부로 말하기 어려운 거지만,

사실 이 교과에서 그렇게 핵심이 되는 내용은 아닌 듯..

이보다는 다음부터 정리할 공간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구조와 거기서의 동작에 더 초점을 맞춰 공부했던 것 같다.

필기를 열심히 해놓은 흔적이 있어 옮겨보긴 했는데,, 상당한 시간이 들어간다.

 

 2.

공간데이터 수업이 가장 최근에 들은 컴공수업인데다 열심히 들은 기억도 있고 좀 재밌었던 내용도 있어서

언젠가 블로그에 정리를 해야지 하고 미루다가,, 이러단 내용을 까먹어버릴 것 같아 드디어 시작한다 ㅠ

 

 

 

'Study > SDBM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SDBMS ⑥ The KD Tree  (0) 2021.04.15
SDBMS ⑤ The Z-Ordering Tree  (0) 2021.04.08
SDBMS ④ The Linear Quadtree  (0) 2021.04.02
SDBMS ③ SAM, The Grid File  (0) 2021.03.29
SDBMS ② ER Diagram and Relational Schema  (0) 2021.03.15

댓글